티스토리 뷰

많은 부모님들이 자녀의 학습 및 행동 양상에 대해 궁금해하고 고민하시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중에서도 경계성 지능장애(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절한 지원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경계성 지능장애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계성 지능장애 정의와 특징
경계성 지능장애는 지능 지수(IQ)가 70~85 사이인 경우를 말하며, 정신지체와 정상 지능의 경계선상에 위치합니다.
이들은 추상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기억력, 집중력, 언어 습득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Peltopuro et al., 2014). 또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데도 어려움을 보입니다(Kemp et al., 2017).
경계성 지능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학업이나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지원과 교육을 받으면 사회적 기술을 개발하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Hassiotis et al., 2008).
경계성 지능장애 식별 방법
경계성 지능장애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웩슬러 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와 같은 표준화된 지능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지능 지수를 측정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을 내립니다(Whitaker, 2008).
또한 행동 관찰, 인터뷰 등의 방법도 활용됩니다.
자녀에게서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을 발견한다면, 경계성 지능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계성 지능장애의 원인
경계성 지능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염색체 이상, 단일 유전자 변이, 다유전자 변이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운증후군과 같이 특정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계성 지능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Van Gameren-Oosterom et al., 2013).
환경적 요인으로는 임신 중 합병증, 조산, 저체중 출생, 영양 부족, 유해한 환경 물질 노출 등이 있습니다.
또한, 어린 시절의 학대, 방임, 스트레스 등도 뇌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Hassiotis et al., 2008).
경계성 지능장애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경계성 지능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는 간단한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억력이 좋지 않다.
2. 복잡한 지시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3. 어휘력, 표현력이 부족하며 분위기 파악을 못하고 눈치가 없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4. 30분 이상 한 가지에 집중하지 못한다.
5. 나이대의 아이들에 비해 순수한 부분이 많다.
6. 상황에 대한 판단력과 추론 능력이 떨어진다.
7. 독서를 어려워한다.
8. 고집이 매우 세고 융통성이 없다.
9. 문제 해결 능력이 좋지 않은 편이다.
10. 어릴 적 좋아하던 물건에 집착한다.
11. 자신의 생각을 글이나 말로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위 항목 중 7개 이상에 해당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경계성 지능장애 진단 절차
경계성 지능장애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1. 전문의와의 상담
-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 가족력, 이전의 학습 경험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상담이 이루어집니다.
2. 평가 및 검사
- 웩슬러 지능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와 같은 표준화된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지능 수준을 평가합니다.
- 학습 능력, 정서적 및 행동적 특성 등에 대한 다양한 평가 도구도 활용됩니다.
3. 종합적인 평가
- 검사 결과와 함께 개인의 생활 배경, 교육 이력, 가족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경계성 지능장애 외에도 다른 요인들(예: 학습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평가됩니다.
4.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계성 지능장애 진단 여부를 결정합니다.
- 개인에게 맞춤화된 치료 및 지원 계획을 수립합니다.
- 계획에는 교육적 지원, 정서적/행동적 개입,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교육 및 학습 전략: 효과적인 지원 방안
경계성 지능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학습 전략은 매우 중요합니다.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 개별화된 교육 계획 수립
- 특수 교육 교사와 협력하여 각 학생의 강점, 약점을 파악합니다.
-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 계획을 수립합니다.
- 핵심 과목(읽기, 쓰기, 수학) 지원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기술, 자기관리기술 습득 지원도 포함됩니다.
2. 다양한 학습 방법 활용
- 시각적 자료, 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 참여를 유도합니다.
- 개별 수준에 맞는 재구성된 자료를 제공합니다(Allor et al., 2014).
3. 부모 및 가족 참여
- 부모는 자녀의 학습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가정에서 지원을 제공합니다.
- 학교는 부모와 소통하며 지속적 평가/조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선합니다(Jennings et al., 2014).
4. 기술 활용
- 컴퓨터 보조 교육, 증강현실/가상현실 등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Adkins, 2017).
5. 사회적 기술 향상
- 또래 관계, 의사소통, 갈등 해결 등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Hutchins et al., 2016).
경계성 지능장애 학생들에게 적절한 지원과 도구를 제공한다면 충분히 성취할 수 있습니다. 개별 맞춤형 접근과 다양한 전략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경계성 지능장애는 부모와 교사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지원을 통해 이들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거친 후, 개별 맞춤형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여 다각도의 접근을 모색한다면, 경계성 지능장애 아이들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경계성 지능 장애 이슈 보러가기 >
https://www.insight.co.kr/news/455625
아이큐 70~85 사이 ‘경계선 지능인’ 699만명 추정...“이런 행동 특성 보인다”
지능지수가 71~84로 평균보다 낮지만 장애 판정을 받지는 못하는 경계성 지능인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www.insight.co.kr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083
서울시, ‘경계성지능 한부모∙자녀 지원’ 나서∙∙∙실질 자립 위해 협력 - 바이오타임즈
[바이오타임즈] #최근 홀로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경계선지능인의 아이가 엄마와 단둘이 있는 상황에서 화상을 입거나 다른 사람이 잠시 맡겨둔 개한테 얼굴을 물리는 등 안전이 위태로운 사고
www.biotimes.co.k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7741
"15세 때 성추행 당해 보육원 나왔는데, 아무 지원도 못 받았다" [소외된 자립청년] | 중앙일보
성인이 되어 자립준비청년 정부 지원 제도를 알아봤지만 정착금·수당 등 지원 대상이 ‘만 18세에 보호가 종료된 자’여서 15살에 보육원을 나온 A씨는 해당이 안 됐다. 만 18세 이전 보육원 퇴소
www.joongang.co.kr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482
“‘IQ 70~85’ 경계선 지능 한부모 위한 국가 지원 근거 마련돼야” -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국내 ‘경계선 지능인’의 수가 약 565~667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경계선 지능인 한부모에 대한 제도적 지원책을 발굴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
www.ntoday.co.kr